📌부동산 투자 레시피

153만 호 ‘빈집 시대’… 왜 지금 투자인가? | 지방·도시 빈집 투자 전략 & 정부 지원금 가이드

머니레시피-부자아빠 2025. 5. 7. 01:46
반응형
13 만 4,009호 ‘빈집 시대’… 2025 투자·지원금 완전 정복

13 만 4,009호 ‘빈집 시대’… 2025년 왜 지금 투자해야 할까?

1️⃣ 최신 숫자로 보는 빈집 시장

전국 빈집 13 만 4,009호 가운데 42.7 %가 인구감소지역에 몰려 있습니다[1].

2️⃣ 2025 핵심 정책 3가지

  1. 국비 100억 원·1,500호 철거 지원 – ‘범정부 빈집 관리 종합계획’ 발표[2]
  2. ‘빈집애’ 2.0 – 빈집 현황·거래 매칭 통합 플랫폼(2025-03 개편)[3]
  3. 세제·규제 완화 – 철거 후 공공용지 전환 시 재산세 감면 무기한, 양도세 중과 유예 5년[4]

3️⃣ 빈집 매입 → 리모델링 → 수익 플로우

사람이 살지 않는 낡은 빈집 외관

① 매입가

경매·지자체 공고·빈집애 매물에서 시세 대비 약 −30 % 수준에 거래되는 사례가 다수 확인됩니다.

② 리모델링 비용

2025년 국내 인테리어 시세는 평(3.3 ㎡)당 100 만 ~ 150 만 원이 일반적입니다[5].

③ 실전 ROI 예시 – 강원 춘천 ‘살롱 프로젝트’

항목금액(만원)
매입 (30평)4,800
리모델링3,200
지자체 지원▲ 1,200
연 임대수익780
연 순수익률≈ 11 %

출처 : 행안부 「2024 빈집정비 활용사례집」 춘천시 후평동 사례[6]

실내 리모델링 공사 현장

4️⃣ 지자체 지원금 TOP 2 (2025)

지자체단순 철거공공용지 전환리모델링 임대출처
김해시1,000 만 원1,500 만 원2,000 만 원[7]
창원특례시1,500 만 원2,000 만 원3,000 만 원[8]

5️⃣ 7-Day 액션 플랜 – 일주일 안에 첫 걸음

  1. Day 1 : 관심 지역·인구감소 여부 확인
  2. Day 2 : 빈집애에서 시세 −30 % 매물 5건 스크랩
  3. Day 3 : 등기·건축물대장 열람 → 근저당·용도 체크
  4. Day 4 : 현장 답사 → 구조·접근성·주변 시세 확인
  5. Day 5 : 지자체 건축과 지원금·인허가 요건 문의
  6. Day 6 : 견적 2곳 비교 + ROI 계산
  7. Day 7 : 계약 및 지원금 신청 서류 준비

6️⃣ 투자 전 필수 체크 – 리스크 5문 5답

Q1 : 등기·용도지역 제한?

근저당·가압류·도시계획시설 예정 유무를 먼저 확인하세요.

Q2 : 안전진단 등급?

B등급 이하는 구조 보강비 급증 가능 → 예산 여유 필요.

Q3 : 보조금 중복 수령?

국비·지방비는 중복 가능하나, R&D 및 관광 공모 사업과는 중복 불가입니다.

Q4 : 세제 혜택 조건?

철거 후 공공용 또는 임대 4년 이상 활용해야 감면이 유지됩니다.

Q5 : 공실·운영 리스크?

공사→입주까지 평균 4-6개월, 이자·현금 흐름을 반드시 시뮬레이션하세요.

※ 실제 투자 전에는 건축·세무·법률 전문가의 상담이 필요합니다.

출처

  1. JTBC 뉴스, “전국 빈집 13 만 4,009호” (2025-05-01)
  2. 조선Biz, “국비 100억·1,500호 철거” (2025-02-25)
  3. KBS 뉴스, “‘빈집애’ 플랫폼 개편” (2025-03-11)
  4. 매일경제, “재산세 감면 무기한” (2025-05-02)
  5. The Living, “2025 리모델링 시세” (2025-03-12)
  6. 행안부, 「2024 빈집정비 활용사례집」 춘천 후평동
  7. 김해시 보도자료, “빈집 정비 지원” (2025-02-06)
  8. 연합뉴스, “창원시 빈집정비 보조금 확대” (2025-01-31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