📌 월급관리 레시피
💰 월급에서 세금 얼마나 떼이나? 실수령액 계산법 완전 정리
머니레시피-부자아빠
2025. 4. 4. 08:18
반응형
"내가 받은 월급이 생각보다 적네?"
직장인이라면 누구나 한 번쯤 느껴봤을 겁니다. 월급명세서를 보면 빠져나간 세금이 꽤 많죠.
이 글에서는 월급에서 빠지는 세금 항목과 계산 방법을 실제 예시와 함께 쉽게 설명드립니다.
📌 왜 월급에서 세금이 많이 빠지는 것처럼 느껴질까?
- 소득세, 4대보험 등 다양한 공제 항목이 존재
- 세율이 누진 구조라 월급이 오를수록 세금도 증가
- 공제액이 매월 일정치 않아 혼란스러움
📊 월급에서 빠지는 주요 세금 및 공제 항목
- 소득세: 월급 구간에 따라 누진세율 적용 (근로소득공제 포함)
- 지방소득세: 소득세의 10%
- 국민연금: 월급의 4.5%
- 건강보험: 약 3.545% + 장기요양보험료 추가
- 고용보험: 0.9% (2024년 기준)
반응형
📑 2024년 근로소득 세율표 (누진세율)
근로소득세는 과세표준 구간에 따라 세율이 달라지는 누진세 구조입니다. 아래 표는 2024년 기준 세율표이며, 누진공제액도 함께 참고해야 정확한 세금 계산이 가능합니다.
과세표준 구간세율누진공제액
1,200만원 이하 | 6% | 0원 |
1,200만원 초과 ~ 4,600만원 이하 | 15% | 108만원 |
4,600만원 초과 ~ 8,800만원 이하 | 24% | 522만원 |
8,800만원 초과 ~ 1억5천만원 이하 | 35% | 1,490만원 |
1억5천만원 초과 ~ 3억원 이하 | 38% | 1,940만원 |
3억원 초과 ~ 5억원 이하 | 40% | 2,540만원 |
5억원 초과 ~ 10억원 이하 | 42% | 3,540만원 |
10억원 초과 | 45% | 6,690만원 |
※ 과세표준 = 연봉 – 근로소득공제 – 인적공제 – 각종 소득공제 후 금액
※ 실제 계산 시 지방소득세 10%가 추가로 붙습니다 (예: 소득세 100만 원이면 지방세 10만 원 별도).
🧮 예시: 월급 300만원이면 세금은 얼마나 빠질까?
기본 가정: 미혼 직장인, 부양가족 없음, 월급 3,000,000원, 정규직
- 소득세: 약 30,000원
- 지방소득세: 약 3,000원
- 국민연금: 약 135,000원
- 건강보험: 약 106,000원
- 장기요양: 약 11,000원
- 고용보험: 약 27,000원
총 공제액: 약 312,000원
실수령액: 약 2,688,000원
💡 꿀팁: 내 월급 실수령액 빠르게 확인하는 법
- 국세청 홈택스에서 간이세액표 조회
- '네이버 실수령액 계산기' 등 포털 툴 활용
- 4대 보험 사이트에서 개인별 예상 공제액 확인 가능
❓ 자주 묻는 질문(FAQ)
Q1. 퇴사하면 남은 세금 돌려받을 수 있나요?
네. 연말정산 또는 퇴직 시 정산 과정에서 더 낸 세금은 환급받을 수 있습니다.
Q2. 비정규직도 4대 보험을 내야 하나요?
근로시간과 계약 형태에 따라 다르며, 일정 요건을 충족하면 가입 및 공제 대상이 됩니다.
Q3. 급여 외 인센티브나 상여금에도 세금이 붙나요?
네. 급여 외 지급되는 금액도 과세 대상입니다. 소득세 계산 시 함께 반영됩니다.
✅ 마무리하며
월급에서 빠지는 세금은 복잡해 보이지만, 항목별로 이해하면 실수령액 예측이 쉬워집니다.
오늘 배운 내용을 토대로,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하고 세금도 전략적으로 관리해보세요!
반응형